|
|
|
ㆍ掌饌者入實饌具畢
(장찬자가 들어가 제찬을 갖추어 진설을 마치면)
|
|
ㆍ謁者引初獻官升自東階 點視陳設訖還出
(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라가 진설한 찬품들을 점검하여 둘러보고 나온다)
|
|
ㆍ執禮及廟司先就階間拜位 北向西上 四拜訖 관手就位
(집례와 묘사는 먼저 계간 배위로 나아가 서쪽을 상위로 하여 북향해 4배하고 마치면 손을 씻은 다음 각기 위치로 나아간다) |
|
ㆍ謁者贊引俱就階間拜位 四拜訖就位
(알자와 찬인은 다 같이 계간 배위로 나아가 4배하고 제자리에 나아간다) |
|
● 唱笏 (홀기를 부른다)
|
|
ㆍ贊引引大祝及諸執事入階間拜位 北向西上立
(찬인은 대축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계간 배위로 나아가 서쪽을 상위로 북향하여 서시오) |
|
ㆍ四拜 大祝以下皆四拜
(4배하시오. 대축이하 다 4배하시오)
【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】 |
|
ㆍ大祝及諸執事詣관洗位 관手 各就位
(대축과 여러 집사는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고 각각 제자리에 나가시오) |
|
ㆍ廟司及奉香奉爐升 開扉 開독 啓蓋
(묘사와 봉향 봉로는 오르시오. 문을 열고 주독을 열고 제기의 뚜껑을 열고 복지를 거두시오) |
|
ㆍ奉香奉爐降復位
(봉향과 봉로는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ㆍ贊引引大祝詣傳香門前 奉祝板香궤引詣香所
(찬인은 대축을 인도하여 전향문에 나아가 축판과 향궤를 받들고 향소로 나가시오) |
|
ㆍ降復位
(제자리로 가시오) |
|
ㆍ謁者贊引各引獻官入就位
(알자와 찬인은 각각 헌관을 모시어 제자리로 나가도록 하시오) |
|
ㆍ謁者請行事 【謁者進初獻官之左白有司謹具請行事】
(알자는 행사를 청하시오) |
|
ㆍ四拜 獻官以下儒生在位者皆四拜 【一般鞠躬】
(4배하시오. 헌관이하 참사자 전원은 4배하시오)
【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】 |
|
● 行奠幣禮 (전폐례를 행하시오) |
|
ㆍ謁者引初獻官詣관洗位 【진笏 관手 세手 執笏】
(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세수하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
(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시오) |
|
ㆍ大祝及奉香奉爐升
(대축은 폐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大祝以幣비授初獻官
(대축은 폐비를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大祝 大祝奠于神位前
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. 대축은 폐비를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復聖公神位前
(다음은 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大祝以幣비授初獻官
(대축은 폐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大祝
(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) |
|
ㆍ大祝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대축은 폐비를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宗聖公神位前
(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大祝以幣비授初獻官
(대축은 폐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大祝
(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) |
|
ㆍ大祝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대축은 폐비를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述聖公神位前
(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大祝以幣비授初獻官
(대축은 폐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幣獻幣授大祝
(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) |
|
ㆍ大祝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대축은 폐비를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亞聖公神位前
(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大祝以幣비授初獻官
(대축은 폐비를 가져다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大祝
(초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대축에게 주시오) |
|
ㆍ大祝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대축은 폐비를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初獻官以下降復位
(초헌관이하 다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● 行初獻禮 (초헌례를 행하시오) |
|
ㆍ謁者引初獻官詣大成至聖文宣王준所 西向立
(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를 받아 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나아가 서향해 서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
(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해 서시오) |
|
ㆍ奉爵奠爵升
(봉작과 전작은 오르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醴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예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初獻官
(봉작은 작을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초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 小退北向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大祝升
(대축은 오르시오) |
|
ㆍ大祝詣獻官之左東向궤 【진笏】
(대축은 헌관의 왼쪽에 나아가 동향해 무릎 꿇고 앉으시오) |
|
ㆍ讀祝文 讀祝畢
(축문은 읽으시오) |
|
ㆍ大祝降復位
(대축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ㆍ謁者引初獻官詣配位준所 西向立
(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배위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해 서시오) |
|
ㆍ引詣復聖公神位前
(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醴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예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初獻官
(봉작은 작을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초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세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宗聖公神位前
(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醴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예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初獻官
(봉작은 작을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초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述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醴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예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初獻官
(봉작은 작을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초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亞聖公神位前
(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醴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예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初獻官
(봉작은 작을 초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초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謁者引初獻官降復位
(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● 行亞獻禮(아헌례를 행하시오) |
|
ㆍ謁者引亞獻官詣관洗位 【진笏 관手 세手 執笏】
(아헌관은 알자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세수하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준所 西向立
(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 【獻官궤而진笏】
(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해 서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앙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앙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亞獻官
(봉작은 작을 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謁者引亞獻官詣配位준所 西向立
(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해 서시오) |
|
ㆍ引詣復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앙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앙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亞獻官
(봉작은 작을 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宗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앙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앙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亞獻官
(봉작은 작을 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述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앙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앙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亞獻官
(봉작은 작을 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 (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亞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앙齊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앙제를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亞獻官
(봉작은 작을 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謁者引亞獻官降復位
(알자는 아헌관을 모시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● 行終獻禮(종헌례를 행하시오)
|
|
ㆍ謁者引終獻官詣관洗位 【진笏 관手 세手 執笏】
(종헌관은 알자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세수하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준所 西向立
(대성지성문선왕 준소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시오) |
|
ㆍ引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 北向立 【獻官궤而진笏】
(대성지성문선왕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해 서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終獻官
(봉작은 작을 종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종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謁者引終獻官詣配位준所 西向立
(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배위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해 서시오) |
|
ㆍ引詣復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복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終獻官
(봉작은 작을 종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종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宗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종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終獻官
(봉작은 작을 종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종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述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술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終獻官
(봉작은 작을 종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종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次詣亞聖公神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다음은 아성공 신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終獻官
(봉작은 작을 종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종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|
ㆍ謁者引終獻官奉爵奠爵降復位
(알자는 종헌관을 모시고 봉작과 전작과 다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● 行分獻禮 (분헌례를 행하시오) |
|
ㆍ謁者贊引各引分獻官詣관洗位 【진笏 관手 세手 執笏】
(분헌관은 각각 알자와 찬인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세수하시오) |
|
ㆍ謁者贊引各引分獻官詣從享位준所 西向位
(분헌관은 각각 알자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종향위 준소에 나아가 서향하여 서시오) |
|
ㆍ引詣從享位前 【獻官궤而진笏】
(종향위전에 나아가시오) |
|
ㆍ各奉香奉爐升
(각 봉향과 봉로는 오르시오) |
|
ㆍ三上香
(세번 향을 피우시오) |
|
ㆍ各奉爵奠爵升
(각 봉작과 전작은 오르시오) |
|
ㆍ各司樽擧冪酌酒以爵授奉爵
(각 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따라 술잔을 봉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奉爵以爵授分獻官
(봉작은 작을 분헌관에게 주시오) |
|
ㆍ分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
(분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奠爵奠于神位前 【獻官執笏俯伏興平身】
(전작은 작을 신위 앞에 올리시오) |
{東西從享位如儀}
(동서 종향위에 이같이 한다)
|
|
ㆍ謁者贊引各引分獻官各奉香奉爐奉爵奠爵降復位
(알자와 찬인은 각각 분헌관을 모시고 제자리로 가고 각 봉향ㆍ봉로ㆍ봉작ㆍ전작은 제자리로
돌아가시오) |
|
● 行飮福禮 (음복례를 행하시오)
|
|
ㆍ謁者引初獻官詣飮福位 西向궤
(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음복위에 나아가 서향하여 꿇어 앉으시오) |
|
ㆍ大祝詣飮福位獻官之左 北向궤
(대축은 음복하는 자리에 나아가 헌관의 좌측에서 북향하여 꿇어 않으시오) |
|
ㆍ奠爵升
(전작은 오르시오) |
|
ㆍ奠爵以爵福酒授大祝 大祝授初獻官
(전작은 음복잔을 대축에게 주시오. 대축은 음복잔을 초헌관에게 드리시오) |
|
ㆍ初獻官授爵飮訖 大祝受虛爵復於점
(초헌관은 잔을 받아 다 마시시오. 대축은 빈 잔을 받아 잔 놓는 자리에 놓으시오) |
|
ㆍ大祝以俎授初獻官 初獻官受俎以授尊爵
(대축은 도마의 고기를 초헌관에게 드리시오. 초헌관은 도마 고기를 전작에게 주시오) |
|
ㆍ尊爵受俎降自東階出
(전작은 도마의 고기를 받아 동계로 내려가시오) |
|
ㆍ引降復位 四拜 獻官四拜
(다들 제자리로 돌아가시오. 4배하시오. 헌관은 4배하시오)
【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】 |
|
ㆍ徹변豆
(변과 두를 거두시오) |
|
ㆍ大祝升徹변豆 【各一少移】
(대축은 들어와 변과 두를 거두시오) |
|
ㆍ四拜 獻官以下儒生在位者皆四拜 【一般鞠躬】
(4배하시오. 헌관이하 참사자 전원은 4배하시오)
【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】 |
|
● 行望燎禮(망요례를 행하시오)
|
|
ㆍ謁者引初獻官詣望燎位 北向立 【執禮師贊者詣望燎位西向立】
(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망요위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시오) |
|
ㆍ大祝以비取祝板及幣降自西階置於坎
(대축이 대바구니를 가지고 축판과 폐백을 취하여 서계로 내려와 구덩이앞에 놓으시오) |
|
ㆍ可燎置土半坎
(불사르고 흙으로 반쯤 메우시오) |
|
ㆍ謁者引初獻官復位
(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 |
|
ㆍ大祝復位
(대축은 제자리로 돌아가시오)
【謁者進初獻官之左白禮畢】 |
|
ㆍ謁者贊引各引獻官出
(알자와 찬인은 각각 헌관을 인도하여 나가시오)
|
|
ㆍ奉香奉爐升 閉독閉扉
(봉향과 봉로는 올라가서 주독을 덮고 문을 닫으시오) |
|
ㆍ贊引引大祝及諸執事俱復階間拜位 四拜
(찬인은 대축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배위로 나아가 다같이 4배하시오)
【鞠躬 拜 興 拜 興 拜 興 拜 興 平身】
|
|
ㆍ贊引引大祝及諸執事以次出
(찬인은 대축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나가시오)
|
|
ㆍ執禮復階間拜位 四拜
(집례는 배위에 나아가 4배하시오)
|
|
ㆍ執禮以次出
(집례는 나가시오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