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향교 일반 |
|
지정명칭 |
삼척향교(三陟鄕校) |
지정현황 |
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02호
(대성전) |
|
창건시기 |
조선 초 |
입 지 |
구릉지 |
|
소 유 자 |
향교재단 |
관 리 자 |
향교재단 |
|
좌 향 |
정남향 (대성전 정남향) |
배치형식 |
前學後廟 / 前堂後齋
종축 2개 |
|
중건시기 |
1407년 이건
1468년 현 위치로 이건 1682년 건지동으로 이건 1701년 현 위지로 다시 이건 |
대지조성 |
2단 : 내삼문 기준 |
|
설 위 |
5聖, 孔門10哲, 宋朝 6賢, 해동 18賢 |
인접시설 |
삼척초등학교 |
|
건축구성 |
대성전, 동서무, 내삼문, 명륜당, 동서재, 숙청재, 직청, 장경실, 홍살문, 교직사, 화장실 ,
협문 2 |
|
특기사항 |
숙청재와 직청으로 이루어지는 타 향교에서 볼 수 없는 영역 형성
외문이 명륜당 정면 중앙에 놓이지 않고 숙청재 영역과의 사이에 사주문 형태로 존재 |
|
2. 대성전 건축요소 |
|
개 요 |
5 × 2칸 전 1퇴칸 / 초익공/ 홑처마 맞배지붕 / 1고주 5량가 / 강회다짐 / 연등천장
주고 2850 / 주칸 2450 / 수장폭 90 / 도리단면 Φ=240 / 보단면 : 대들보 440 × 480, 종보 240 × 240
기단높이 : 전면 1500, 측면 180 / 초석크기 약 600 × 600 |
|
기단계단 |
단층기단 / 삼벌대 /
장대석 바른층 쌓기
전면 2개 (동측7, 서측 8단) |
보 |
대들보 : 전후평주 걸침
종 보 : 3분변작에 근접 |
|
초 석 |
정평주초 / 자연석 +방형 초석 |
도 리 |
5량 / 굴도리 |
|
기 둥 |
원형기둥
전면 평주 Φ=430~440,
고주 Φ=320~330 |
대 공 |
중대공 : 동자주
종대공 : 판대공 |
|
공 포 |
초익공 / 보머리 초각 |
창 방 |
방형 90 × 240 / 뺄목직절 |
|
처 마 |
겹처마 / 서까래단부 사절 / 끝걷기 |
지 붕 |
맞배지붕 / 방풍판 |
|
수 장 |
회사벽 / 모로단청 / 연등천장 / 강회다짐+장판지 마감 |
|
특기사항 |
대성전 전면 서측에 망례위, 전면 계단 사이 배례석 있음
1고주 5량가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서도 대들보가 전후평주에 걸쳐져 있음
현판 좌측에 명문 있음( 1711년명) |
|
3. 명륜당 건축요소 |
|
개 요 |
7X1칸, 2층 누각/초익공/겹처마 맞배지붕/ 5량가/장마루ㆍ연등천장, 온돌ㆍ우물반자(동실)
주고2250 / 주칸2740 (어칸, 동측협1칸), 3050(동측협2칸, 좌우퇴칸), 3350(서측협1,2칸)
수장폭90 / 도리단면 Φ=210 / 보단면 : 대들보 330 X 360, 종보210 X 210
주심처마길이 1550 / 초석크기 약570X570 |
|
기단계단 |
단층기단 / 외벌대
후면 1개(5단) |
보 |
대들보 : 전후평주 걸침
종 보 : 3분변작에 근접 |
|
초 석 |
정평주초 / 원형 초석 |
도 리 |
5량 / 굴도리 |
|
기 둥 |
원형기둥 / 배흘림 약간
下 Φ=440~450, 上 Φ=360~400 |
대 공 |
중대공 : 동자주
종대공 : 판대공 |
|
공 포 |
초익공 |
창 방 |
방형 90 × 180 / 뺄목직절 |
|
처 마 |
겹처마 / 서까래단부 사절 / 끝걷기 |
지 붕 |
맞배지붕 |
|
수 장 |
회사벽 / 모로단청 /
장마루ㆍ연등천장, 온돌ㆍ우물반자 (동실) |
|
특기사항 |
최근에 신축하였으며 전면 하층에 살대를 두었음
주칸이 일정하지 않은 것은 화재로 손실된 후 복구과정에서의 착오에 따른 결과로 보임 |
|
|
|
|